Click here to take action to protect the Paralysis Resource Center

Connect

방광 관리

방광 관리

누구나 방광 기능 장애로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방광 문제에 관한 일반적인 건강 문제에는 전립선 비대, 여성의 호르몬 변화, 비만, 변비, 알츠하이머(Alzheimer)병 및 기타 치매와 같은 인지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당뇨병 문제, 척수 손상, 다발성 경화증 및 파킨슨(Parkinson)병과 같은 신경 질환과 손상이 있습니다. 흡연, 활동 부족, 알코올 및 단 음료의 과다 섭취 또는 단백질 기반 식단과 같은 생활 습관 요인은 방광 기능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배뇨 문제는 특정 약물의 부작용으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 때때로 방광 기능 장애의 원인은 불분명합니다.

비뇨기계의 작동 원리

몸에서 노폐물을 제거하는 것은 건강을 유지하는 데 있어 중요한 단계입니다. 비뇨기계는 이 과정을 완료하는 기관으로 구성됩니다. 비뇨기계는 신체에서 액체 폐기물을 제거하는 것이 주요 기능이지만, 혈액량, 혈압 및 신체의 화학 성분을 조절하는 역할도 합니다.

신체에서 액체 폐기물을 제거하는 것은 신장에서 시작됩니다. 신장은 갈비뼈의 뒤쪽과 바닥에 있는 신체 양쪽에 각각 하나씩 있는 두 개로 된 기관입니다. 신장은 끊임없이 혈액을 걸러내고 있습니다. 여러분이 무엇을 하든 신장은 혈액을 걸러내고 있습니다. 신장은 바소프레신(항이뇨 호르몬, ADH)과 같은 특정 호르몬으로 인해 밤에 활동 속도가 느려지므로 방광 기능 장애가 없으면 밤에 일어나 화장실에 갈 필요가 없습니다.

보통 하루에 신장은 약 1,700리터 또는 약 7컵의 혈액을 걸러냅니다. 혈액에서 수집된 노폐물은 신장에서 소변이 됩니다. 신장은 자율신경계에서 통제합니다. 자율신경계는 신체가 자동으로 또는 의식적인 통제 없이 작동하게 하는 신경계의 일부입니다.

각 신장에서 방광까지 이어지는 요관이라고 하는 긴 근육으로 된 관이 있습니다. 요관은 신장에서 방광으로 소변을 운반합니다. 요관은 연동 운동이나 근육 수축을 사용해 신장에서 방광으로 한 방향으로만 흐르도록 설계되었습니다. 요관은 또한 골반 내장 신경과 하복부 신경총을 통해 자율신경계에서 제어합니다. 그러나 연동 작용은 요관 내의 자율박동 세포에서 발생합니다.

소변이 방광에 들어가면 적절한 시간이 될 때까지 방광에 저장됩니다. 방광은 치골 바로 위, 골반저의 복부 바닥에 있는 단일 기관입니다. 방광은 의학적으로 배뇨근이라고 합니다. 방광은 소변으로 채워지면 늘어나며 소변이 비워지면 수축합니다. 소변이 방광에 모이면 아주 약간의 수축이 일어납니다. 이러한 수축은 방광이 차면서 더 강해집니다. 뇌는 수축을 해석해 방광을 비워야 할 때 신호를 보냅니다.

성인 방광의 최대 용량은 300~500cc 또는 13~29온스입니다. 방광이 과도하게 차면 심각한 문제와 결과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성인의 평균 소변량은 사람에 따라 약간씩 차이가 있지만 약 2컵이어야 합니다. 아이의 방광 용량은 나이와 관련이 있기도 하지만 그 아이의 체격도 영향을 미칩니다. 아이의 방광 용량 추정은 다음 공식을 사용하여 계산됩니다. 아이의 나이에 2를 더한 다음 30을 곱합니다. (나이 + 2)30 = cc가 아이 기준 방광 용량입니다. 또는 나이에 2를 더하면 아이의 방광 크기를 온스 단위로 표시합니다.

방광은 자율신경계가 조절하는 평활근육, 요추 2번(L2)의 교감신경 및 천추 2, 3, 4번(S2, 3, 4)의 부교감신경으로 구성됩니다. 교감신경계는 소변의 저장을 조절합니다. 부교감신경계는 방광 수축과 소변 저장을 통제합니다. 천추 2, 3, 4번(S2, 3, 4)에서 척추를 빠져나가는 음부 신경도 특히 외부 요도 괄약근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방광에는 3개의 구멍이 있는데 2개는 요관이 신장에서 소변을 전달하기 위해 들어가는 상단에 있고 1개는 소변 배출을 위해 방광 바닥에 있습니다. 소변을 내보내기 위한 이 구멍을 요도라고 합니다. 요도는 남성의 경우 음경의 길이와 동일해 길이가 약 8인치입니다. 여성의 경우 요도의 길이는 약 1.5인치입니다.

요도에는 2개의 괄약근(원형근)이 있습니다. 방광 내부 괄약근은 방광 입구에 있습니다. 이것은 방광 근육의 일부로, 자율신경계가 통제합니다. 즉, 이는 사람이 자발적으로 통제할 수 없음을 의미합니다. 방광 수축이 충분히 강하면 소변은 자동으로 방광 내부 괄약근을 통해 흐릅니다. 두 번째 괄약근인 외괄약근은 신경계 체세포 부분의 통제 아래에 있는 골격근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체신경은 의지로 통제합니다. 여러분이 방광에서 소변을 배출하기로 선택하면 외부 괄약근이 여닫힙니다. 천추 2, 3, 4번(S2, 3, 4)에서 척추를 나가는 음부 신경도 외부 요도 괄약근의 운동 신경입니다.

요약하자면, 신장은 소변을 만들고, 요관은 소변을 신장에서 방광으로 옮기고, 방광은 소변을 저장합니다. 소변을 배출할 준비가 되면 내부 및 외부 괄약근이 열리고 방광 벽이 수축해 소변이 배출됩니다. 배뇨가 끝나면 방광이 다시 소변을 저장할 수 있도록 괄약근이 닫힙니다. 이 모든 것은 정확하고 질서 있는 협응으로 이루어져야 합니다.

다음 그림에서 배뇨(micturition)는 소변보기(urination)를 뜻하는 또 다른 단어라는 점을 유의하세요.

Graphic explaining brains connection to bladder

방광 기능의 장애

방광의 문제는 근본적으로 요실금과 요폐 두 가지로 나타납니다. 요실금은 사회적으로 허용되는 순간까지 소변 배출을 조절할 수 없는 상태입니다. 요폐는 방광을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비울 수 없는 것입니다. 신체 기능은 단순하지 않기 때문에 요폐와 요실금이 함께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배뇨 기능 장애의 원인은 치료로 이어집니다.

방광 기능 장애는 괄약근 기능으로 방광 수축을 조절하는 신체가 관리를 잘못하는 것에서 비롯됩니다. 이는 질병과 신경학적 문제를 포함한 많은 요인의 결과일 수 있습니다. 괄약근의 힘을 압도하는 방광 수축이나 약한 괄약근은 요실금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폐색은 요폐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중추신경계(CNS) 문제로 인해 방광과 괄약근이 제대로 소통하지 못하면 요폐 또는 신경인성 방광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비뇨기계 기능 장애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몇 가지 문제가 있습니다.

위축성 방광은 수축한 상태로 남아 있는 작은 방광입니다. 방광이 늘어나고 수축하는 능력을 제대로 발휘하지 못해서 발생합니다. 이는 요도나 치골상 개구부를 통해 장기간 도뇨관을 삽입하여 방광을 비우기 전에 소변이 차지 않고 즉시 소변을 제거하기 때문에 가장 자주 발생합니다.

방광확장(비대)은 과도한 팽창으로 인해 방광 근육 벽이 두꺼워지는 것입니다. 방광을 비우지 않고 계속 과도하게 채우면 방광 벽의 근육이 과도하게 늘어나서 더 두꺼워집니다. 가장 흔한 원인은 폐색이지만 신경학적 원인으로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방광 비대증이 있는 사람은 방광을 비우는 데 어려움이 있고 배뇨를 자주 해야 하며 소변이 천천히 나옵니다.

자율신경성 반사부전증(Autonomic Dysreflexia: AD) 척수 손상과 뇌 손상 및 척수에 영향을 미치는 의학적 진단을 받은 사람들은 자율신경계(ANS)에 장애가 있을 수 있습니다. 이는 일반적으로 흉추 6번(T6) 이상의 척수 손상 부위 아래의 신체와의 전송 오류입니다. 신체는 뭔가 잘못되었음을 감지하지만, 문제를 식별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투쟁이나 도피’ 반응을 유발합니다. 방광 문제는 자율신경성 반사부전증의 주요 원인입니다. 자율신경성 반사부전증은 혈압이 개인의 평균 혈압의 수축기 혈압(상위 수치)에서 40 이상 상승하는 의료 응급 상황입니다. 유발 요인을 찾아서 제거해야 합니다. 자율신경성 반사부전증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https://www.ChristopherReeve.org/cards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비뇨기암(Cancer of the Urinary System)은 누구에게나 발생할 수 있습니다. 위험 요인으로는 흡연(방광암의 50%가 흡연으로 인해 발생함), 독성 화학물질에 대한 노출, 일부 형태의 방사선 및 장기 감염이 있습니다. 이전에는 도뇨관 삽입이 위험했지만, 도뇨관 삽입 용품에서 라텍스를 제거하여 더 이상 위험하지 않습니다.

배뇨근-괄약근협동장애(Detrusor Sphincter Dyssynergia: DSD)는 방광 근육의 수축이 요도 괄약근과 조화를 이루지 못할 때 발생합니다. 괄약근이 닫혀 있는 동안 방광 근육이 수축하거나 소변 배출을 위한 성공적인 방광 수축 없이 괄약근이 열립니다. 수축하는 방광과 폐쇄된 괄약근은 신장에서 역류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남성 해부학적 감염 박테리아는 비뇨기 계통에서 남성의 장기로 퍼질 수 있는데, 이는 교류 통로가 공유되기 때문입니다. 여기에는 전립선염, 부고환염 및 부고환-고환염(고환 염증)이 포함될 수 있습니다.

신장 기능 장애 및 손상은 감염과 질병으로 인해 소변이 비뇨기계로 역류할 때 발생합니다. 소변은 신장에서 요관을 거쳐 방광으로 흐릅니다. 그러나 방광의 높은 압력으로 인한 역류나 자연적인 소변의 통과를 허용하지 않는 폐색으로 인해, 소변을 저장하는 능력이 없는 신장에 소변이 저장됩니다. 당뇨병 및 고혈압과 같은 질병도 신장 기능에 영향을 미칩니다. 신장을 건강하게 유지하는 것이 방광 관리의 우선순위입니다.

폐색은 신장, 요관 또는 요도가 막혀 소변이 해당 부분을 통과할 수 없는 경우에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것은 결석, 혈전, 협착, 흉터, 전립선이나 기타 신체 기관의 비대 또는 변비나 대변막힘으로 인한 것일 수 있습니다.

패혈증은 몸 전체에 퍼지는 감염입니다. 이것은 비뇨기계에서 시작되거나 신체의 다른 부분에서 비뇨기계로 이동할 수 있습니다. 패혈증은 의학적 응급 상황입니다. 패혈증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다음을 참고하세요. www.ChristopherReeve.org/cards

결석은 광물화되어 돌이 되는 단단한 결정 덩어리입니다. 결석은 비뇨기계의 모든 부분에 나타날 수 있으며, 작아서 방광에서는 감지되지 않고 지나갈 수 있습니다. 더 큰 결석은 소변의 흐름을 방해하고 통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요관을 통과하는 결석은 요관의 지름이 작아 고통스러울 수 있습니다. 섬세한 조직을 손상할 수 있는 결석이 존재할 공간이 신장에는 없습니다. 결석의 거친 모서리는 출혈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결석은 척수 손상이 있는 사람에게 자율신경성 반사부전증과 근긴장 증가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요도염은 요도(방광에 있는 신체의 개구부)의 염증이나 감염입니다. 여러 이유로 발생할 수 있지만 도뇨관을 삽입하는 사람이라면 요도나 주변 부위에 비누나 세척액이 남아 있을 때 발생할 수 있습니다.

소변 역류(Urinary Reflux)는 소변이 요관을 따라 신장으로 역류하는 과정입니다. 신장은 저장할 곳이 없어 손상이 발생하고, 이는 신부전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요로 감염(Urinary Tract Infection)은 비뇨기계에 생긴 감염입니다. 대부분은 감염이 방광에서 시작해 신장으로 퍼질 수 있습니다. 감염이 퍼지지 않도록 가능한 한 빨리 감염을 치료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박테리아는 언제든지 비뇨기계로 유입될 수 있습니다. 대부분 일반적으로 많은 수의 박테리아가 발견되는 요도를 통해 들어옵니다. 박테리아는 비뇨기계의 모든 부분을 침범할 수 있습니다. 감염에 관한 치료를 즉시 받아야 합니다.

감염은 조기에 발견하면 치료가 더 쉽습니다. 요로 감염의 징후는 다음과 같습니다. 지속적인 배뇨 충동, 특히 배뇨 시 작열감, 잦은 배뇨, 흐림, 악취, 점액, 침전물 또는 혈뇨, 배뇨 시 또는 치골 부위의 통증, 요통, 발열, 오한, 메스꺼움, 두통, 피로, 또는 자발적 소변 손실 등이 있습니다. 신체의 감각이 저하된 사람들은 자율신경성 반사부전증 증상이나 경직 증가 또는 특히 어깨나 턱과 같은 감각이 있는 신체 부위에 통증을 느낄 수 있습니다.

비뇨기계 부작용이 있는 약물

일부 약물은 비뇨기계에 영향을 미칩니다. 이러한 약물, 수분과 보충제의 과량이나 과다 복용은 비뇨기 기능 장애로 이어지는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약물/수분/보충제
비뇨기계에 미치는 영향
술(Alcohol)요절박, 빈뇨 및 기능적 요실금. 배뇨의 필요성에 대한 인지 저하.
항콜린제(Anticholinergics)요폐 및 범람 요실금.
항우울제(Antidepressants)요폐, 범람 요실금 및 소변 지림.
항정신병약(Antipsychotics)요폐, 범람 요실금 및 소변 지림.
항고혈압제(Antihypertensives)특히 여성의 복압성 요실금.
카페인(Caffeine)요절박, 빈뇨 및 요실금.
이뇨제(Diuretics)요절박 및 빈뇨. 요실금은 조기에 약물을 복용하고 계획적인 배뇨를 통해 조절할 수 있습니다.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NSAIDS)배뇨의 필요성에 대한 인지 저하. 긴급, 기능적 요실금.
아편유사제(Opioids)배뇨의 필요성에 대한 인지 저하. 긴급, 기능적 요실금.
단 음료(Sugary drinks)요절박 및 빈뇨.
비타민 C, D(Vitamin C, D)과다 복용으로 인한 잦은 배뇨

요실금: 유형과 치료

일부는 중추신경계나 말초신경계에 문제가 없더라도 다른 이유로 요실금이 생깁니다. 비뇨기 계통 문제의 원인은 호르몬 변화, 골반저의 약해진 근육 및 질병으로 인해 생기기도 합니다. 요실금은 질환을 올바르게 다루고 치료할 수 있도록 의료 전문가와 상의해야 합니다. 척수 손상이 있는 사람, 일부 뇌 손상이 있는 사람, 특정 의학적 상태가 있는 사람은 신경의 오전달로 생기는 신경인성 방광이 있습니다. 신경인성 방광에 관한 자세한 내용은 아래에서 계속됩니다.

절박성 요실금(Urge Incontinence)은 갑자기 소변이 마려우면서 소변이 새는 것입니다. 이는 방광의 비정상적인 수축이 소변을 배출할 적절한 시간이 될 때까지 소변을 억제하는 외부 괄약근의 힘을 압도하면서 발생합니다.

가장 흔한 절박성 요실금의 원인은 요로 감염이지만 당뇨병, 뇌졸중, 다발성 경화증, 파킨슨(Parkinson)병, 방광 자극이나 척수 손상과 같은 질병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절박성 요실금은 누구에게나 생길 수 있지만, 노인, 비만, 제왕절개 분만 또는 골반 수술 이력이 있는 여성, 전립선 질환이나 수술을 받은 남성, 방광암이나 전립선암이 있는 사람에게서 가장 흔히 발견됩니다. 원인을 알 수 없는 경우가 많습니다.

절박성 요실금의 치료에는 방광 수축을 유발하지 않도록 방광을 비우는 일정에 따라 배뇨를 하는 행동 변화가 있습니다. 소변을 보고 싶은 충동을 증가시키는 카페인, 설탕이 든 음료 및 술을 피하세요. 무거운 물건을 드는 것을 피하세요. 케겔(Kegel) 운동을 하거나 가중 질 삽입물을 사용하여 골반 근육을 강화해 골반저를 조이세요. 체중 감량은 또한 복부 부하를 줄이는 데 도움이 됩니다. 바이오피드백을 사용해 수축 반응을 줄이는 방법을 배울 수 있습니다.

약물을 사용하면 방광 수축을 줄일 수 있습니다. 다리페나신(Enablex), 페소테로딘(Toviaz), 미라베그론(Myrbetriq), 옥시부티닌(Ditropan, Ditropan XL, Gelnique, Oxytrol), 솔리페나신(VESIcare), 톨테로딘(Detrol, Detrol LA), 트로스피움(Sanctura), 히오시아민 (Anaspaz, Cystospaz, Hyosol, Hyospaz, Levbid, Levsin) 또는 디시클로민 (Antispas, Bentyl, Byclomine, Di-Spaz, Dibent, Or-Tyl, Spasmoject) 등 다양한 선택지가 있습니다.

보톡스 주사는 방광 수축이나 경련(긴장)의 빈도와 심각도를 줄이기 위해 방광에 사용할 수 있습니다. 효과를 유지하려면 반복적으로 주사를 맞아야 합니다.

다른 치료에는 요도 괄약근을 강화하기 위한 전기 자극이 포함될 수 있습니다. 괄약근 탄성을 높일 수 있는 수술 기법과 임플란트도 있습니다.

과민성 방광(Overactive Bladder: OAB)은 절박성 요실금처럼 일시적이기보다는 지속적으로 나타나는 과민성 방광 수축입니다. 과민성 방광의 징후는 소변을 자주 보고 싶은 충동과 낮에 8~10회 이상 또는 밤에 2회 이상 소변을 보는 것을 포함합니다. 과민성 방광은 소변 누출(절박성 요실금)과 함께 나타날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과민성 방광과 절박성 요실금은 복합적인 문제일 수 있습니다.

과민성 방광은 누구에게나 생길 수 있지만 다발성 경화증, 당뇨병, 폐경기의 호르몬 변화, 종양, 방광 결석, 전립선 비대, 변비 또는 다른 형태의 요실금 치료를 위한 수술 결과와 같은 의학적 상태로 유발될 수 있습니다. 뇌졸중, 알츠하이머(Alzheimer)병 또는 기타 치매와 같은 인지 기능 저하가 있는 사람들은 과민성 방광의 위험이 있습니다. 요로 감염은 과민성 방광의 증상과 유사합니다.

행동 변화로 과민성 방광을 나아지게 할 수 있습니다. 여기에는 일정에 따라 소변을 보는 것이 포함됩니다. 짧은 시간 동안 배뇨를 참거나 연기하는 연습을 하면 결국 시간이 더 길어집니다. 카페인, 설탕이 든 음료 및 술을 줄이거나 마시지 않기 위해 물로 바꾸면 배뇨 충동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됩니다. 케겔운동과 전신운동으로 골반저를 조여주세요. 건강한 체중을 유지하세요. 방광을 자극하는 니코틴을 금지하려면 금연하세요. 바이오피드백을 사용해 수축 반응을 줄이는 방법을 배울 수 있습니다.

과민성 방광이 있으면 소변을 볼 때 방광을 완전히 비우지 못할 수도 있습니다. 이에 따라 소변을 밀어낼 수는 없지만 더 많은 수축이 유발됩니다. 방광을 온전히 비우지 못하면 간헐적 도뇨관 삽입을 시작할 수 있습니다.

과민성 방광이 여성의 호르몬 변화로 인한 것이라면 에스트로겐을 추가하여 조직을 강화할 수 있습니다. 방광을 비우는 데 도움이 되는 약물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여기에는 톨테로딘(Detrol), 알약 형태 (Ditropan XL)나 피부 패치(Oxytrol) 또는 젤(Gelnique)로 사용되는 옥시부티닌, 트로스피움, 솔리페나신(VESIcare), 다리페나신(Enablex), 페소테로딘(Toviaz) 또는 미라베그론(Myrbetriq)이 포함됩니다.

방광에 보톡스를 주사하면 수축을 진정할 수 있습니다. 피부를 통한 전기 자극이나 신체 이식으로 방광 수축 신호를 차단할 수 있습니다. 더 복잡한 과민성 방광에 대한 수술은 방광확대술이나 확장 또는 방광 제거술을 받을 수 있습니다.

복압성 요실금(Stress Incontinence)은 높은 복압으로 인해 통제되지 않는 소변 누출입니다. 일반적으로 복압성 요실금은 움직임, 무거운 물건 들기, 구부리기, 뛰기, 기침, 웃거나 재채기할 때 발생합니다. 여러 번의 질분만이나 자궁 적출술을 받았거나, 또는 폐경 후의 여성에게 더 흔합니다. 남성의 경우 전립선 수술 후에 더 자주 발생합니다. 노화, 흡연 또는 기타 의학적 문제로 인한 심한 기침, 비만, 변비, 성교, 과도한 카페인 및 술 복용은 남녀 모두에게 위험 요소입니다.

현재 복압성 요실금 치료에 승인된 약물은 없습니다. 에스트로겐은 여성의 복압성 요실금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항우울제 둘록세틴(Cymbalta)이 복압성 요실금 치료를 위해 시험 중이며 유망한 결과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처방전 없이 구입할 수 있는 제품이 많이 있지만 결과는 다양합니다.

복압성 요실금 치료에는 근육 강화를 위한 골반저 운동이 포함됩니다. 체중을 조절하는 생활 방식의 변화, 기침을 줄이기 위한 금연, 카페인과 음주 억제가 권장됩니다. 더욱 진보된 치료법으로는 보톡스 주사, 전기 자극, 골반저 재건술 또는 부인과 수술이 있습니다.

범람 요실금(Overflow Incontinence)은 방광을 완전히 비울 수 없어 소변이 뚝뚝 떨어지는 현상을 말합니다. 방광을 비우고 싶은 충동이 느껴지지 않습니다. 전립선 문제나 기타 요도 협착 또는 수축, 방광 근육이 약해져 소변을 완전히 배출할 수 없거나 신경 손상으로 인해 방광 배출 부위가 막혀서 발생합니다. 원인은 특정 문제일 수도 있고 여러 문제가 복합적으로 작용할 수도 있습니다.

범람 요실금의 원인에는 수술 후 마취 또는 분만 후와 같은 일시적인 문제가 있습니다. 당뇨병, 알코올 중독, 파킨슨(Parkinson)병, 다발성 경화증, 허리 문제/허리 수술 또는 이분척추로 인한 신경 손상을 포함한 질병이 범람 요실금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특정 항경련제와 항우울제를 포함한 일부 약물의 부작용은 방광으로 보내는 신경 신호에 영향을 미쳐 과민성 방광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치료에는 방광 관리 일정 잡기, 배뇨 후 30초 기다렸다가 다시 배뇨 시도와 같은 행동 변화가 포함됩니다. 범람성 요실금은 간헐적 도뇨관 삽입으로 치료할 수 있습니다. 또한, 범람 요실금을 유발하는 근본적인 상태를 치료하는 것도 필요합니다.

범람 요실금을 위한 한 가지 약물은 아세틸콜린과 관련된 콜린성 약물인 베테인콜입니다. Duvoid, Myotonachol, Urecholine나 Urocarb같은 상표로 이용할 수 있습니다. 남성의 경우 전립선 비대증으로 소변을 보는 경우 독사조신(Cardura), 알푸조신(Uroxatal), 프라조신(Minipress), 탐스로신(Flomax), 실로도신(Rapaflo), 테라조신(Hytrin)과 같은 알파 아드레날린 차단제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기능적 요실금(Functional Incontinence)은 소변을 보고 싶은 충동을 느끼지만, 제시간에 화장실에 가지 못하는 문제입니다. 신체를 충분히 신속히 움직이지 못하거나, 옷을 벗는 데 어려움, 신체나 장비로 인한 신체장애, 과정이 너무 복잡해 해결할 수 없는 생각(인지) 문제가 원인일 수 있습니다.

기능적 요실금의 치료는 의복이나 신체적 환경을 조정해 과정을 단순화하는 것입니다. 일정에 따라 배뇨하면 긴급 상황이 줄어들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문제의 원인이 바로잡을 수 있는 신체적 장애에 있다면 이를 목표로 삼아야 합니다.

혼합성 요실금(Mixed Incontinence)은 위 문제들의 조합입니다. 혼합성 요실금을 해결하기 위해 여러 치료를 조합해야 할 수 있습니다.

요폐

비뇨기계 폐색(Obstruction of the Urinary System)은 소변이 몸 밖으로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배출되는 것을 무언가가 막고 있을 때 발생합니다. 이것은 전립선 비대, 변비, 방광암, 종양, 섬유증, 자궁내막증, 신장 결석 및 혈전이 있을 때 생깁니다. 비뇨기 계통의 일부가 작동하지 않거나 소변이 비뇨기계를 통하거나 신체 밖으로 배출하지 못하게 하는 모든 문제가 요폐일 수 있습니다. 비뇨기계의 폐색은 출생 전에 발생할 수 있으며 산모의 혈액 검사와 초음파 검사를 통해 발견할 수 있습니다.

폐색의 증상으로는 소변 배출의 어려움, 느린 흐름(지림), 빈뇨, 감소한 소변량, 혈액 또는 방광이 비어 있지 않은 것 같은 느낌이 있습니다.

치료는 장애물을 제거하거나 여는 것입니다. 소변이 요도를 통해 몸 밖으로 흐르지 않으면 요관에서 신장으로 역류합니다. 신장 손상 방지를 위해 신속하게 조처해야 합니다.

치료에는 가능하면 요도를 열어 소변이 흘러나오게 하려고 유치 도뇨관을 일시적으로 삽입하는 것이 있습니다. 흐름을 터주기 위해 막힌 위치에 따라 요관이나 요도에 스텐트를 삽입할 수 있습니다. 폐색의 원인이 전립선 비대, 종양 또는 기타 폐색인 경우 폐색 문제를 해결하는 수술이 필요합니다.

신경인성 방광(신경인성 방광 기능 장애): 유형과 치료 신경인성 방광은 방광 기능을 조절하는 신경과 근육에 문제가 있을 때 생깁니다. 비뇨기계의 각 부분은 효과적인 소변 배출을 위해 협력해야 합니다. 신경인성이란 신경 전달에 어려움이 있음을 의미합니다. 메시지를 뇌와 주고받는 데 장애가 있는 경우 신경인성 방광으로 진단됩니다. 이것은 중추신경계(뇌와 척수) 또는 말초신경계(신체의 신경)의 질병이나 손상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신경인성 방광의 원인에는 다음이 포함됩니다.

  • 뇌나 척수에 영향을 미치는 의학적 문제
  • 척수에 영향을 미치는 선천적 결함
  • 뇌 또는 척수 손상 사고
  • 말초신경 손상
  • 유전적 신경 문제
  • 비뇨기계 또는 신체의 감염
  • 중금속 중독
  • 뇌 또는 척수 종양
  • 뇌혈관 사고(Cerebral Vascular Accident: CVA) 또는 뇌 또는 척수의 뇌졸중
  • 당뇨병
  • 다발성 경화증
  • 파킨슨(Parkinson)병
  • 이분척추
  • 뇌성마비

신경인성 방광의 유형은 비억제성, 과반사성(경직), 이완성 및 혼합형이 있습니다.

비억제 신경인성 방광은 방광이 꽉 차 있다는 감각이나 인식이 저하된 것입니다. 요실금(불수의적인 소변 배출)은 배뇨 욕구를 인식하지 못하기 때문에 발생합니다. 이는 뇌 손상, 뇌졸중, 치매 및 다발성 경화증과 관련이 있습니다.

비억제 신경인성 방광은 배뇨 사이의 시간을 천천히 늘리면서 방광 관리 시간을 예정하는 것과 같은 행동 변화로 치료할 수 있습니다. 수분 섭취 및 수분 유형을 주의 깊게 관찰하면 갑작스러운 사고를 피할 수 있습니다. 괄약근을 조이거나 방광 수축을 이완시키는 약물(항콜린제)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또한 방광의 소변 배출을 위해 도뇨관 삽입 시간을 예정하는 간헐적 도뇨관 삽입 프로그램(IMC)을 시작해야 할 수도 있습니다.

반사(과반사) 신경인성 방광은 일반적으로 신경계의 상위 운동 신경(UMN)에 손상을 입은 사람에게서 발견됩니다. 상위 운동 신경은 인간의 주요 움직임의 원천입니다. 상위 운동 신경의 세포체는 중추신경계, 뇌 및 뇌간 상부에 있습니다. 상위 운동 신경은 중간 뉴런이라고 하는 접합을 통해 하위 운동 신경에 연결됩니다. 부상이나 질병으로 중단되는 게 아니라면 움직임을 위한 메시지는 이 경로를 따릅니다. 상위 운동 신경 손상의 결과는 일반적으로 경부 및 흉부 질환이나 손상이 있는 사람에게서 볼 수 있습니다. 반사 신경인성 방광은 흉추 10번(T10) 이상의 척수 손상이 있는 사람에게서 생깁니다.

뇌에서 움직임에 대한 메시지를 보내지만, 상위 운동 신경이 손상되면 메시지를 잘못 해석하거나 전달할 수 없습니다. 상위 운동 신경의 손상은 반사성 또는 경련성 방광을 유발합니다. 이것은 신체 외부에 나타나거나 신체 내부에 영향을 미칠 수도 있습니다.

상위 운동 신경 손상이 드러나는 방식 중 하나는 반사성(경직이나 긴장) 방광에서 기인합니다. 방광에 소변이 차지만 자동으로 배출됩니다. 배출되는 소변의 양은 방광의 모든 소변일 수도 있고 소량일 수도 있습니다. 이는 괄약근과 마찬가지로 방광 근육도 수축하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부조화로 인해 소변이 방광에 정체되어 높은 압력이 생기면 소변이 요관을 통해 신장으로 역류할 수 있습니다. 신장은 소변을 저장하는 곳이 아니므로 손상을 입습니다. 치료로 신장 손상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반사 신경인성 방광의 치료는 개인적 필요에 따라 접근합니다. 손의 기능이 제한되고 방광 압력이 높으며 높은 수준의 부상을 입은 남성은 괄약근 절개술을 시행할 수 있습니다. 이는 외부 괄약근 근육을 작게 절개해 방광에서 소변이 자유롭게 흐르도록 하는 수술 절차입니다. 그런 다음 외부 도뇨관을 사용해 소변을 모아 담습니다. 이렇게 하면 소변이 신장으로 역류할 위험이 줄어듭니다.

여성은 해부학적 구조로 인해 소변을 모으는 장치를 사용할 수 없으므로(많은 사람들이 이를 위해 노력하고 있음) 대안을 사용합니다. 남성이나 여성은 치골 바로 위 복부에 외과적으로 만든 구멍에 삽입하는 치골상 도뇨관을 대안으로 씁니다. 소변의 자유로운 흐름을 위해 이 구멍에 도뇨관을 삽입합니다. 대안은 요도를 통해 유치 도뇨관을 사용하는 것입니다.

손 기능이 충분하면 스스로 간헐적 도뇨관을 삽입할 수 있습니다. 임시 도뇨관을 배치해 방광에서 소변을 배출하는 과정입니다. 소변이 배출되면 도뇨관을 제거합니다. 방광이 과도하게 채워지지 않도록 액체량을 주의 깊게 관찰해야 합니다.

이완성 신경인성 방광 하위 운동 신경(LMN)의 세포체는 척수의 하부 중추신경계, 신경 뿌리, 뇌간의 뇌신경핵 및 운동 기능을 갖는 뇌신경에 있습니다. 하위 운동 신경은 움직임을 위해 상위 운동 신경으로부터 메시지를 받습니다. 이들은 자발적인 움직임을 위해 골격근과 직접 연결됩니다. 빨리 움직이거나 천천히 움직이거나 그대로 있으라는 메시지가 뇌에서 몸으로 전송됩니다.

상위 운동 신경이 손상되면 뇌의 메시지가 잘못 해석되거나 신체로 전달되지 않습니다. 그 결과는 무기력입니다. 상위 운동 신경 손상은 요추 및 천골 질환이나 손상이 있는 사람에서 가장 흔히 볼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중추신경계와 말초신경계(PNS)의 신경이 영향을 받습니다.

손상 부위 아래에서는 방광을 포함한 몸이 이완되고, 방광은 소변으로 가득 차지만 배출되지는 않습니다. 방광은 일반적인 방식으로 수축하지 않습니다. 소변은 계속해서 방광을 가득 채우게 됩니다. 때때로 방광 근육의 일부인 내부 괄약근이 수축하지 않아 소변이 알아서 흘러나오거나 요실금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마비로 인해 그 사람은 외부 요도 괄약근을 자발적으로 제어하지 못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방광의 소변이 완전히 배출되지 않습니다. 잔여 소변은 방광에 남게 됩니다. 방광이 너무 가득 차서 파열되거나 실금(무의식적으로 소변 배출)할 수 있습니다.

반사활이 보존된 때에는 직장 개구부를 늘려 소변을 배출할 수 있습니다. 가득 찬 방광의 감각 신호가 뇌로 수신되지 않기 때문에 소변은 시간에 맞춰 배출되어야 합니다. 일부의 경우, 방광 부위를 두드리는 것도 배뇨를 자극할 수 있습니다. 이완성 신경인성 방광의 치료는 간헐적 도뇨관 삽입으로도 관리할 수 있습니다.

이완성 신경인성 방광이 있는 사람은 배뇨를 유발하기 위해 크레데(Credé) 기법(방광 위로 피부 아래로 손을 굴림)이나 발살바(Valsalva) 기법(밀어 내리기)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배뇨 방법을 활용하려면 괄약근 저항이 낮아서 소변이 요도에서 쉽게 흘러나올 수 있어야 합니다. 괄약근을 조이면 이러한 기법으로 인해 방광에 압력이 가해져 소변이 신장으로 역류할 수 있습니다. 일부는 여전히 발살바(Valsalva)를 사용하지만, 직장 압력으로 탈장이 유발되어 중단되었습니다. 이러한 기법이 개인적 필요에 따라 안전한지 확인하려면 의료 전문가에게 문의하세요. 괄약근이 수축하면 약물을 사용하여 괄약근을 이완시킬 수 있습니다. 또는 괄약근 근육을 외과적으로 작게 절개하는 괄약근 절개술을 시행할 수도 있지만 이로 인해 지속적인 요실금이 발생합니다.

혼합 신경인성 방광 상위운동신경과 하위운동신경 손상의 요소를 모두 가지고 있을 때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방광은 반사성이지만 외부 괄약근이 이완되어 요실금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또는 반사성 외부 괄약근으로 인해 방광이 이완될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방광이 커지고 압력이 높아져 소변을 볼 수 없습니다.

방광 문제의 진단

방광 관리 문제는 의료 전문가가 진단해야 합니다. 방광 문제의 한 유형이 다른 유형이라고 가정하면 더 많은 합병증과 비뇨기계 손상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스스로 관리하는 것은 특히 신장에 심각한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신경인성 방광에서 실제로 누출이 있을 때 범람 요실금이라고 생각하고 치료하면 방광에 높은 압력이 가해져 소변이 신장으로 역류할 수 있습니다. 평생 건강한 비뇨기 계통을 위해 검사를 받고 진단을 받아 올바른 치료를 결정해야 합니다.

검사실 검사

혈액 검사는 소량의 혈액 표본을 평가해, 방광과 신장이 어떻게 기능하는지 또는 신체에 감염이 있는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혈액요소질소(Blood Urea Nitrogen: BUN)와 크레아티닌 수치 및 사구체 여과율(Glomerular Filtration Rate: GFR)은 신장 기능을 나타내는 혈액 검사의 일부입니다. 백혈구 수의 증가는 비뇨기계를 포함한 신체 어딘가에 감염이 있음을 나타냅니다. 또한 혈액 검사는 비뇨기 계통이 원활히 기능하는 데 필요한 수분이 신체에 충분히 있는지를 보여줄 수 있습니다. 전립선 비대가 의심되는 남성은 전립선특이항원(PSA) 검사를 받고 테스토스테론 수치를 평가받을 수 있습니다.

소변 배양 및 감수성 검사(UA & CS) 소변 검사는 요로 감염(UTI), 신장 질환 및 당뇨병을 비롯한 건강 지표를 평가하기 위해 수행할 수 있습니다. 소변 검사는 산도(pH), 농도 또는 비중, 단백질, 당(포도당), 케톤, 빌리루빈, 감염 징후 및 혈액을 평가합니다. 소변 검사는 백혈구, 적혈구, 박테리아와 효모, 캐스트(관 모양 단백질) 및 결정체의 양에 대한 것입니다.

소변 검사에서 확인한 대로 소변에 감염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동일한 소변 표본을 사용해 배양과 감수성을 확인합니다. 소변의 박테리아는 배양 접시에서 자랄 수 있습니다. 이는 검사의 배양 부분입니다. 그런 다음 어떤 항생제가 특정 박테리아를 제거하는지 알아보기 위해 다양한 항생제를 평가합니다. 이 부분은 검사의 감수성 부분입니다. 이 절차는 3일이 걸립니다. 감염이 있는 경우 가장 적절한 항생제를 처방받습니다. 박테리아를 제거하려면 처방받은 모든 항생제를 복용해야 합니다. 감염이 사라진 것처럼 느껴지더라도 실제로는 이제 막 통제되는 중입니다. 전체 처방전을 다 복용할 때까지는 감염이 제거되지 않습니다.

24시간 소변 수집 신장 기능을 확인하기 위해 하루 동안의 소변을 수집할 수 있습니다. 신장에서 제거되는 크레아티닌의 양을 확인하는 것이 목적입니다. 이 검사는 또한 단백질, 비뇨기 호르몬, 미네랄 및 기타 화학 물질을 평가합니다.

임상 검사

배뇨 후 잔뇨 측정(Post Void Residual: PVR)은 자연 배뇨나 요실금 후 소변이 방광에 남아 있는지를 평가하는 방법입니다. 이 절차에서는 배뇨를 시도하거나 자발적 또는 실금 소변 배출을 합니다. 직선 도뇨관을 삽입해 방광에 남아 있는 모든 소변을 배출하고 나면 즉시 도뇨관을 제거합니다. 방광에 소변을 남기지 않는 것이 목적입니다.

방광 스캔(Bladder Scan) 방광 비우기를 평가하는 가장 간단한 방법 중 하나는 비침습적 방광 스캔입니다. 이것은 방광 부위의 피부에 부착하는 초음파 장치입니다. 장치와 피부에 전송 젤을 바르면 음파가 방광으로 투사됩니다. 방광 내 소변의 양을 측정해 모니터에서 방광 내 소변의 도표를 볼 수 있습니다. 해당 장비가 있으면 이 검사로 배뇨 후 잔뇨 측정을 대체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급성 치료 병원, 재활 병원 또는 의료 서비스 제공자의 사무실에서 시행됩니다.

복부/신장 초음파 검사(Abdominal/Renal Ultrasound Testing) 전체 요로에 대한 초음파 검사는 검사 센터에서 수행할 수 있습니다. 신장, 요관 및 방광(KUB)이 검사에 포함됩니다. 검사는 비뇨기계의 구조에 대한 그림을 제공하고 결석이나 협착의 존재를 보여줄 수 있습니다.

요역동학 검사(Urodynamic Testing)는 특히 중추신경계의 뇌 손상, 척수 손상 또는 기타 신경학적 문제가 있는 사람을 위한 비뇨기계의 가장 중요한 검사입니다. 이것은 비뇨기계가 어떻게 기능하는지에 대한 평가입니다.

요역동학 검사에서는 멸균된 압력에 민감한 도뇨관을 방광에 삽입합니다. 이 도뇨관은 복부와 방광 및 요도의 압력을 측정합니다. 직장에 센서를 삽입하여 직장 압력을 측정하고 센서를 복부에 장착하여 복부 압력을 측정합니다. 시술 중 투시 영상을 촬영할 수 있습니다. 멸균된 수분이 방광으로 천천히 떨어집니다. 방광이 차면서 압력이 측정됩니다. 감각이 느껴지는지 묻고 방광을 비워보라는 요청을 받을 수 있는데, 이는 일반적인 능력이 아니더라도 정보 수집을 위해 요청됩니다.

결과는 신장에 손상을 줄 수 있는 소변이 신장으로 역류할 위험성을 나타냅니다. 방광 기능의 유형은 고압 또는 저압, 과민성 또는 이완성으로 식별됩니다. 신경 및 근육 기능을 평가합니다. 방광과 괄약근이 수축하는 방식과 이 둘이 협응할 때의 기능을 분석합니다. 결과에 따라 비뇨기계와 안전성을 향상하는 치료를 받을 수 있습니다. 복합적인 시술이 권장될 수 있습니다.

정맥신우조영술/요로조영술(Intravenous Pyelogram/Urogram) 이 검사에서는 염료를 몸에 주입합니다. 염료가 신체를 통과하는 동안 비뇨기계가 얼마나 잘 기능하는지 평가하기 위해 방사선의학을 수행합니다. 염료는 소변과 함께 빠르게 배출됩니다. 이 검사는 신장, 요관, 방광 및 요도를 평가합니다. 신장 결석, 종양, 낭종, 요관 협착 및 전립선 비대와 같은 문제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방광경검사(Cystoscopy)는 요도를 통해 좁은 관찰 튜브를 방광으로 삽입하는 절차입니다. 이 절차는 대부분 마취하에 수행됩니다. 검사자는 방광 내부를 관찰합니다. 방광경 검사는 감염, 출혈 원인, 결석, 염증, 암을 찾거나 작은 종양을 제거하는 데 사용됩니다. 전립선 비대증 진단에도 도움이 됩니다. 조직 표본은 체내에서 검사하거나 검사실 검토를 위해 옮겨질 수 있습니다.

방광 생체검사(Bladder Biopsy) 방광경 검사 중에 우려되는 것으로 보이는 조직의 생체검사를 실시할 수 있습니다. 그런 다음 의심되는 조직을 검사실에서 확인합니다. 이것은 폴립이나 기타 성장을 확인하는 데 특히 중요합니다.

방광 관리

방광 프로그램은 신경 손상을 입은 사람의 비뇨기 건강을 위해 개발되었습니다. 신경인성 방광은 배뇨를 다시 배우는 문제가 아니라 신경의 잘못된 의사소통이 문제이며, 건강하고 적절한 방광을 조절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방광 프로그램은 배변 훈련과 혼동되어서는 안 됩니다. 아기는 완전히 기능하는 근육과 신경이 없이 태어납니다. 골반저 근육이 발달하여 방광이 안정화되고 신경이 발달하여 소변 배출을 조절하는 데까지 시간이 걸립니다. 아기의 방광이 가득 차면 괄약근을 이완하라는 메시지가 뇌로 전달됩니다. 이는 자동으로 이루어집니다. 아이가 자라면서 배뇨를 자제하기 위해 괄약근이 자동으로 열리는 것을 억제하는 법을 배웁니다. 나이가 더 많은 어린이와 성인은 외부 괄약근의 신경을 조절하게 됩니다. 방광 프로그램은 신체의 신경 문제로 인해 시행합니다.

방광 기능을 통제하는 시술은 다음과 같습니다.

방광확대술(Bladder Augmentation)은 방광을 외과적으로 확대하여 더 많은 양의 소변을 담을 수 있도록 하는 과정으로, 소변을 제거하는 것은 아니지만 방광에 더 많은 양을 담을 수 있습니다.

후천골근절개술을 이용한 전기 자극 임플란트(Electrical Stimulation Implant with Posterior Sacral Rhizotomy) 배뇨를 조절하는 신경은 천추 2번~4번(S2-S4)입니다. 신경 뿌리에 전기 자극 장치를 이식하면 괄약근 및 방광의 수축과 이완을 도울 수 있습니다. 전극은 척수 신경 자체가 아니라 신경 뿌리에 외과적으로 부착합니다. 신경근절개술은 방광과 괄약근 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너무 많은 긴장을 유발하는 신경 섬유의 선택적 축소를 확인해 절단하거나 소작하는 수술입니다. 이 두 가지 절차는 한 번의 수술로 수행됩니다.

남성용 외부 도뇨관(External Catheters for Men)은 수축이나 방광의 넘침 또는 괄약근의 기능 상실로 인해 소변이 자발적으로 배출되는 남성에게 사용됩니다. 외부 도뇨관은 콘돔과 유사하므로 때때로 콘돔 도뇨관이라고도 합니다. 그것은 방광에서 자발적으로 배출되는 소변을 수집하기 위해 끝에 구멍이 있고 음경 외부 주위에 고정된 덮개가 있습니다. 열린 끝은 튜브 연장선을 사용하거나 직접 소변백 또는 야간 배액백으로 연결됩니다.

외부 도뇨관은 방광에 수집된 전체 소변 내용물을 방광에서 자발적으로 방출하는 남성을 위한 방광 관리 장치로 사용하거나, 또는 소변이 자유롭게 흐를 수 있도록 괄약근 절개술과 함께 사용할 가능성이 더 높습니다. 외부 도뇨관은 간헐적 방광 도뇨관 삽입 사이의 시간 동안 돌발성 배뇨를 위한 수집 장치로 사용합니다. 방광에서 모든 소변이 자발적으로 배출되지 않으면 외부 도뇨관과 간헐적 도뇨관 삽입을 함께 사용합니다.

때로는 소변 배출 압력이 외부 도뇨관의 배액 개구부보다 더 큽니다. 이에 따라 소변이 배출될 때까지 외부 도뇨관이 풍선처럼 부풀어 오를 수 있습니다. 다리 사이에 도뇨관이 끼는 것처럼 외부 도뇨관이 조여지지 않게 해야 합니다. 때로는 소변 배출의 힘으로 인해 도뇨관이 파열됩니다. 음경에 손상을 줄 수 있으므로 도뇨관을 고정하는 데 테이프를 과도하게 사용하지 마세요. 이런 일이 정기적으로 발생하면 다른 브랜드나 크기가 다른 외부 도뇨관을 사용해 보세요.

여성용 외부 도뇨관(External Catheters for Women) 여성의 해부학적 구조가 내부에 있어 외부 도뇨관 삽입 장치의 개발이 어려웠습니다. 수년에 걸쳐, 고압 방광을 비롯한 모든 원인에 의한 요실금이 있는 여성의 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해, 실패한 기구에서부터 외과적 해부학적 재배치에 이르기까지 많은 시도가 있었습니다.

새로운 기기들이 시장에 출시되고 있습니다. 신경과 관련되지 않은 문제에서 기인한 여성 요실금 조절의 필요성이 대두되면서 다음과 같은 새로운 선택지가 나오고 있습니다. 이러한 기기는 새로우므로 아마도 여성을 위한 괄약근 절개술과 함께 사용하는 것이 미래를 위한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이 새로운 기기는 배출된 소변을 수집하고 방광에서 소변을 제거하지 않기 때문에 신경인성 방광에 대해서는 아직 입증되지 않았습니다.

이러한 장치는 음순 내부나 주변에 설치해, 몸에서 배출된 소변을 끌어냅니다. 일부는 요도 입구 주변의 음순에 맞는 테두리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 도뇨관은 넘침이나 누출에는 도움이 되지만 신경인성 방광일 때에는 소변을 비워주지는 않습니다. 여전히 간헐적 도관 삽입이 필요합니다.

중요한 점은 척수 손상이 있는 여성의 요실금이 해결되고 있다는 것입니다. 이렇게 하면 피부 손상 문제와 유치 도뇨관이 있는 성인용 요실금 패드에 대한 의존도가 줄어듭니다.

유치 요도 도뇨관(Indwelling urethral catheters)은 방광에 높은 압력이 있거나 간헐적 도뇨관 삽입을 할 수 없거나 외부 도뇨관 선택지가 부족한 여성이 주로 장기간 사용합니다. 남성은 때때로 유치 요도 도뇨관을 사용하긴 하지만 여성보다는 빈도수가 적습니다. 유치 도뇨관은 지속적인 소변 흐름을 허용하면서 소변을 담고 피부를 건조하게 유지하여 욕창을 방지합니다. 유치 도뇨관은 소변백이나 야간 수집백에 연결합니다. 연결 튜브를 사용할 수도 있고 사용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유치 도뇨관은 종이테이프를 사용해 허벅지에 고정하거나 여성이 움직일 때 당겨지지 않도록 도뇨관 허벅지 스트랩을 사용해 고정해야 합니다. 남성의 경우, 내재된 도뇨관 튜브를 복부에 테이프로 붙이면 방광에서 소변을 더욱 직접적으로 배출할 수 있습니다.

유치 도뇨관은 의료 전문가가 지시한 일정에 따라 멸균 기술을 사용해 교체해야 합니다. 요도 부위는 의료 전문가의 지시에 따라 세정해야 합니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유치 도뇨관이 요도를 확장합니다. 유치 도뇨관 주변으로 소변이 새는 경우 더 큰 크기의 도뇨관이나 더 큰 풍선이 필요합니다.

유치 도뇨관이 있는 사람은 다른 의학적 상태로 제한을 받는 게 아니라면 자유롭게 수분을 섭취할 수 있습니다. 소변이 몸 밖으로 흐르지 않도록 하는 것은 요로 감염을 예방하는 가장 좋은 방법 중 하나입니다.

장치를 개방할 때마다 알코올로 연결부를 세정하고 배액 주머니를 방광 높이보다 낮게 유지하는 것도 박테리아가 방광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다른 방법입니다. 침대에 앉거나 앉았을 때 배액 주머니가 방광보다 낮은 침대 측면, 의자 또는 다리 측면에 연결되어 있고 배액 튜브가 옆 침대에 감겨 있는지 확인하세요. 종속 배액관은 소변이 방광에서 자유롭게 흐르지 못하게 합니다. 배액 주머니는 바닥에 두어서는 안 됩니다.

간헐적 도뇨관 삽입(Intermittent Catheterization: IMC)은 방광 근육의 자연적인 신축과 수축을 모방하고 감염 위험이 적으므로 가장 선호되는 방광 관리 방법입니다. 이 장치는 고압이나 저압 방광, 반사성 또는 이완성 방광을 가진 사람이 사용할 수 있습니다. 다음은 기본 간헐적 도뇨관 삽입의 절차입니다.

단계절차
이유
1장비, 도뇨관, 윤활제, 요도 세척용품 수집.– 일단 시작하면 절차를 중단하고 싶지 않을 것입니다. 중단하면 손을 다시 씻어야 하고 소모품이 오염될 수 있습니다.
-물품을 모아놓고 편리하게 보관하세요.
2도뇨관 삽입 자세를 취하세요. 변기 위, 변기 옆, 의자 위, 침대 위에서 자세를 취할 수 있습니다.-앉아 있으면 중력으로 인해 방광을 비울 수 있다는 이점이 있습니다.
-화장실에 있으면 소변을 흘려보내기만 하면 되므로 청소가 쉽습니다.
-침대에서 도뇨관을 삽입해야 하는 경우 가능하면 반드시 일어서세요.
3손을 씻으세요.-흐르는 온수와 비누를 사용해 20초 동안이나 생일 축하 노래를 두 번 부르며 세게 문지르세요.
-깨끗한 수건으로 물기를 말리세요. 사용한 수건은 세균이 모이므로 가능한 깨끗한 수건을 사용하세요.
-손이 깨끗해지면 도뇨관을 삽입할 장소로 이동하면서 손을 더럽히지 마세요.
4물품을 개봉하세요.-가정에서는 필요에 따라 소모품을 별도로 주문합니다.
-개봉해야 할 여러 물품이 있을 것입니다.
-개봉 후에는 내용물을 포장지에 보관하여 청결을 유지하세요.
5도뇨관에 윤활제를 떨어뜨리세요.-윤활제 튜브 입구가 도뇨관이나 다른 것에 닿으면 더 이상 깨끗한 상태가 아닙니다. 튜브의 입구가 닿지 않게 하여 튜브에서 도뇨관으로 윤활제를 떨어뜨리세요.
-삽입할 길이만큼 도뇨관에 윤활제를 바르세요. 남자는 6~8인치, 여자는 2인치입니다.
-윤활이 잘 된 도뇨관은 요도의 손상을 줄이고 훨씬 원활히 통과합니다.
6방광으로 연결된 개구부를 씻으세요.-대부분의 사람은 비누와 물을 사용합니다.
-요도의 자극을 피하기 위해 순한 비누를 사용하세요.
-한 번에 요도의 앞에서 뒤로 닦아내세요. 그런 다음 피부에서 수건을 떼세요. 앞에서 뒤로 다시 닦으세요. 이 과정을 반복하세요. 이는 요도의 재오염을 방지합니다.
-앞뒤로 문지르면 요도를 자극해 재오염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7소변이 나오기 시작할 때까지 윤활이 잘 된 도뇨관을 삽입하세요.-도뇨관이 충분히 들어가야 소변이 나오기 시작합니다.
8소변이 멈출 때까지 배출하세요.-소변이 더 이상 흐르지 않으면 소변의 높이가 배액 구멍 아래로 내려갑니다. 그렇다고 해서 방광이 비어 있는 것은 아닙니다.
9도뇨관을 천천히 제거하세요.-천천히 제거하면 방광의 가장 낮은 부분에 남아 있는 마지막 소변액이 배출됩니다.
10방광 개구부의 잔류물을 세정하세요.-비누나 요도 세척액을 방치하면 피부가 건조해지고 갈라져서 박테리아가 유입될 수 있습니다.
11청소하고 물품을 폐기하세요.-도뇨관을 삽입한 장소를 깨끗이 청소하고 장비를 회수해 적절히 폐기하세요.
12손을 씻으세요.-배뇨 후에는 항상 손을 깨끗이 씻으세요.

간헐적 도뇨관 삽입은 4~6시간마다 실시합니다. 개인의 필요에 따라 의료 제공자가 시간 일정을 정할 것입니다. 방광이 너무 차서 요실금이나 신장으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일정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간헐적 도뇨관 삽입으로 수분을 모니터링해야 합니다. 과도한 팽창과 역류를 피하고자 도뇨관 삽입 시 남성은 방광에 약 350cc, 여성은 방광에 약 300cc의 소변이 있어야 합니다. 단 음료, 카페인 또는 알코올과 같은 일부 수분은 물보다 몸을 빨리 통과해 방광을 쉽게 과도하게 채울 수 있습니다. 여전히 이런 것들을 즐길 수 있지만, 적당히 드세요. 그래도 그냥 물이 가장 좋습니다.

간헐적 도뇨관 삽입의 장점은 방광 벽의 자연적인 팽창과 수축이 유지되므로 방광 운동이 유지되는 것입니다. 이 절차는 도뇨관이 방광에 남아 있지 않기 때문에 요로 감염이 적습니다.

미트로파노프 시술(Mitrofanoff Procedure) 방광으로 향하는 새로운 경로를 만들기 위해 맹장이나 장의 일부를 다른 용도로 사용하여 제(배꼽)에 구멍을 만드는 외과적 시술입니다. 직선 도뇨관은 소변을 제거하는 데 사용됩니다. 그런 다음 도뇨관을 제거합니다. 이 시술은 어린이를 위해 개발되었지만, 접근성이 실용적이라 척수 손상이 있는 성인, 특히 여성에게 도움이 됩니다. 일부 남성은 수축한 음경과 같은 독특한 상황에서 이 시술을 선택합니다. 도뇨관 삽입, 시점 및 액체 절차는 간헐적 도뇨관 삽입과 아주 유사합니다.

장루(Ostomy) 복부에 구멍을 뚫어 소변 배출물이 복부에 착용된 수집 백으로 흘러 들어갈 수 있도록 하는 외과적 시술입니다. 구멍이 비뇨기계로 직접 연결되기 때문에 장루 부위를 조심스럽게 청소해야 합니다. 소변이 지속적으로 몸 밖으로 흘러나오므로 수분은 일반적으로 자유롭게 섭취합니다.

반사 방광 비우기(Reflex Bladder Emptying) 척추의 요추나 천골 수준에 낮은 수준의 척수 손상이 있는 개인은 배변 프로그램을 수행할 때 약간의 소변을 배출하게 됩니다. 이를 활용해 직장을 팽창하여 방광을 비울 수 있습니다. 방광을 두드리는 것은 자발적인 소변 배출을 자극할 수 있습니다. 크레데(Credé)는 위에서 아래로 복부의 피부 위에서 방광 위를 손가락으로 굴리는 기술입니다. 발살바(Valsalva) 또는 밀어 내리기는 직장 탈출과 같은 합병증으로 인해 덜 권장됩니다. 이것은 소변을 내보내기 위하여 복부에 압력을 가하여 밀어 내리는 것입니다. 반사 기술은 추가 압력으로 인해 소변이 신장으로 역류하고 직장 탈출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의료 전문가 또는 비뇨기과 전문의의 승인을 받아야 합니다.

괄약근 절개술(Sphincterotomy)은 외부 요도 괄약근을 작게 절개하여 소변을 자유롭게 배출할 수 있게 합니다. 내부와 외부 요도 괄약근은 일반적으로 방광이 수축하며 함께 열립니다. 이 과정에 문제가 있으면 작은 틈으로 괄약근 중 하나 또는 둘 모두를 외과적으로 엽니다. 절차는 일반적으로 마취나 진정제 투여 후에 요도나 방광 개구부로 튜브를 삽입해 진행합니다. 그런 다음, 이 튜브를 통해 절개합니다. 일반적으로 외상성 척수 손상 후 초기에 시행하지만, 방광 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질병이 진행되면 필요할 때 언제든지 시행할 수 있습니다.

이 시술은 고압 방광이 있거나, 과민성 방광 또는 괄약근이 방광 수축과 함께 움직이지 않는 배뇨근 괄약근 운동 이상증(DSD)으로 인해 고압 방광이 발생할 위험이 있는 남성에게 시술합니다. 척수 손상이 있으면 외부 도뇨관을 사용해 소변을 수집하거나 흐름을 차단할 수 있기 때문에 이 시술은 남성에게 더 자주 행해집니다.

일반적으로 이 시술 후에는 수분 제한이 없습니다. 다른 건강 문제로 제한되지 않는 한 수분 섭취가 권장됩니다. 수분 섭취는 비뇨기 계통의 독소와 박테리아를 씻어내고 전반적인 건강을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치골상 도뇨관(Suprapubic Catheter)은 고압 방광이 있거나 높은 방광 압력에 대한 극도의 위험이 있는 개인에게 사용합니다. 일반적으로 외상 후 초기에 시행하지만, 질병이 진행 중이거나 방광 내 압력이 조절되지 않거나 증가하면 언제든지 권장될 수 있습니다.

치골상 도뇨관은 방광 위 치골 위 피부의 외과적 개구부를 통해 삽입됩니다. 그런 다음, 이 구멍을 통해 도뇨관을 삽입해 지속적으로 소변을 배출합니다. 결국 개구부의 가장자리 주변 피부는 치유되지만, 도뇨관 주변은 열린 상태로 유지됩니다.

도뇨관은 멸균 기술을 사용하여 교체합니다. 도뇨관 교체는 필요에 따라 다르며 일반적으로 한 달에서 10주를 주기로 교체하지만 때로는 격주나 더 자주 교체하기도 합니다. 상처를 보호하기 위해 피부 개구부의 도뇨관 주위에 멸균 드레싱을 둡니다. 상처 부위는 세척이 필요하며 드레싱은 하루에 1~2회 교체해야 합니다. 도뇨관은 배액 주머니나 소변백으로 배액됩니다. 도뇨관에서 배액 수집 장치까지 연결된 튜브는 드레싱, 이동 또는 활동 중에 도뇨관을 당기거나 빠지지 않도록 복부 또는 허벅지 위쪽에 고정해야 합니다. 적절한 주의를 기울이면 감염률은 간헐적 도뇨관 삽입과 크게 다르지 않습니다.

요도 스텐트(Urethral Stent)는 요도를 여는 작은 구조물입니다. 이것은 배뇨근 괄약근 운동 이상증(DSD)이 있는 사람이나 배뇨를 위해 반사 기술을 사용하는 사람에게 도움이 됩니다.

요로 전환(Urinary Diversion), 제한적 요로 전환(Continent Urinary Diversion), 피부 회장절개술(Cutaneous Ileovesicostomy)은 요관을 장의 일부에 연결한 뒤 복부로 열리게 하는 시술입니다. 소변이 생기면 주머니에 모입니다. 방광은 그 사람의 필요에 따라 남아 있거나 제거될 수 있습니다. 비뇨기계의 합병증이나 다른 선택지로 인해 필요할 때 실시합니다.

신경인성 방광 치료제

신경인성 방광의 특정 문제를 치료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개별 약물은 매우 많습니다. 약물의 범주와 그 목적이 여기에 나열되어 있습니다.

항콜린성 약물(Anticholinergic Medications)은 무스카린 수용체에서 콜린성 전달을 차단해 작용합니다. 이 약물은 방광 수축과 경련을 감소시켜 범람 요실금을 줄이고 제거합니다. 부작용으로는 졸음, 시야 흐림, 심장 두근거림, 안면 홍조 등이 있습니다.

항우울제(Antidepressants)는 방광 근육을 이완시킵니다. 일반적으로 삼환계가 사용됩니다. 정신 건강 치료를 위해 항우울제를 사용하면 방광 근육 이완의 부작용을 얻을 수 있습니다.

진경제(Antispasmodics)는 방광 근육을 이완시켜 배뇨 전에 더 많은 소변을 보유할 수 있습니다. 부작용에는 신체적 협응과 정신적 각성이 필요한 활동에 대한 간섭이 포함됩니다.

알파 차단제(α-blockers)는 배뇨근 괄약근 운동 이상증(DSD)과 낮은 방광 압력을 치료합니다. 혈압이 매우 낮거나 기립 저혈압이 있는 사람은 복용하면 안 됩니다.

보툴리눔 톡신 주사(Botulinum Toxin Injections)는 배뇨근 괄약근 운동 이상증(DSD)에서 요도 괄약근 및/또는 방광을 직접 치료하는 데 사용됩니다. 약물은 수축을 이완시킵니다. 효과를 지속하려면 반복적인 치료가 필요합니다.

도뇨관의 종류

도뇨관은 다양한 유형과 크기로 제공됩니다. 성인은 일반적으로 12Fr 크기로 시작합니다(도뇨관은 프렌치 또는 French라고 하는 크기로 측정합니다). 아이들은 훨씬 더 작은 크기를 사용합니다. 도뇨관을 체내에 그대로 두면 요도가 확장되거나 치골 상부 개구부가 생길 수 있습니다. 누출을 방지하기 위해 하나 큰 치수의 도뇨관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유치 도뇨관(Indwelling Catheters)은 체내에 남아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이들은 요도 개구부 또는 치골상부 부위에 사용됩니다. 유치 도뇨관은 풍선을 부풀리는 데 사용되는 수분의 양에 따라 크기가 조절되는 풍선으로 제자리에 고정됩니다. 이 도뇨관은 삽입 키트로 제공되며 배액 주머니가 포함됩니다. 낮에는 좀 더 분리된 소변백으로 대체할 수 있습니다.

간헐적 도뇨관(Intermittent Catheters)은 소변을 비운 후 제거하는 데 사용됩니다. 일회용일 수도 있고 사용 사이에 도뇨관 멸균 지침을 받을 수도 있습니다. 가장 일반적인 유형은 코팅되지 않은 직선 도뇨관입니다. 이러한 도뇨관을 삽입하려면 수용성 윤활제를 사용해야 합니다. 기본 도뇨관은 일반적으로 지급 주체 출처(건강 보험사)에서 자금을 지원합니다. 특별한 지급 주체 승인이 필요한 특수 도뇨관에는 원활한 삽입을 위해 도뇨관을 윤활하는 폴리머 용액이 있는 친수성 코팅 도뇨관이 포함됩니다. 폐쇄형 간헐적 도뇨관은 소변 수집 백에 담겨 있어 도뇨관을 만지지 않습니다. 젤, 친수성 또는 항균성 물질로 코팅되어 있습니다.

여성 도뇨관(Female Catheters)은 일반적으로 길이가 7~9인치인 표준 간헐 도뇨관의 짧은 버전입니다. 여성의 해부학적 구조에 비례하는 간헐적 도뇨관 삽입에 편리합니다.

음순 분리기(Labia Separators)는 도뇨관 삽입을 위해 여성이 자세를 잡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는 장치입니다. 이 장치는 도뇨관 삽입을 위해 양손을 자유롭게 합니다. 양손을 사용하면 균형을 더 잘 잡을 수 있습니다.

쿠데 도뇨관(Coudé Catheters)은 삽입부에 곡선형 팁이 있습니다. 전립선 비대 등의 폐색이 있는 경우에 사용합니다. 구부러진 팁이 장애물 주변으로 미끄러져 들어갈 수 있습니다.

방광 관리 전문팀

방광 관리 프로그램에 참여할 수 있는 사람은 다음과 같습니다.

재활 전문의(Physiatrist)는 신경인성 방광 또는 기타 방광 문제를 진단하는 재활 전문 의사입니다. 이 의사는 필요한 방광 관리의 유형을 결정해 약을 제공하고, 수년간 진행 상황을 추적합니다.

비뇨기과 전문의(Urologist)는 비뇨기 계통의 전문의사입니다. 비뇨기 계통의 검사, 시술 및 수술은 이 전문과에서 수행합니다.

재활 간호사(Rehabilitation Registered Nurse)는 도뇨관 삽입 및 기타 방광 관리 기술을 가르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합니다. 간호사는 합병증과 문제 해결을 줄이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물리 치료사(Physical Therapist)는 균형, 신체 및 골반저 근육 강화 운동을 돕고, 배변을 위해 이동하는 법을 배우는 데 도움을 줄 것입니다.

작업 치료사(Occupational Therapist)는 미세 운동 제어를 사용하여 도뇨관을 잡는 방법과 적응형 장비의 사용법을 알려줍니다.

보험 사례 관리자(Insurance Case Manager)는 개인의 기능과 독립성 향상을 위해 고급 도뇨관이나 특수 장비가 필요할 때 중요해집니다.

심리학자(Psychologist)는 방광 관리 문제를 감당하기 힘들 때를 대비해 정신 건강을 강화하는 데 도움을 주는 팀의 중요한 구성원입니다.

방광 관리 연구

방광 관리에 관한 광범위한 연구가 있었습니다. 약물 및 도뇨관의 개발은 지난 10~20년 동안 더 많은 혁신이 계속되면서 발전했습니다. 그러나 방광 관리에 대한 문제는 여전히 많으며, 아직 완벽한 체계가 밝혀지지 않았습니다. 진단에서 치료, 약물 치료, 교육에 이르기까지 방광 관리의 모든 측면이 연구되고 있습니다.

요실금 및 정체 문제에 대한 방광 관리 메커니즘을 연구원들이 연구하고 있습니다. 특히 요실금을 앓는 이유를 연구하고 있습니다. 요인에는 호르몬 변화, 노화, 폐쇄, 감염 및 신경 문제가 포함됩니다. 비뇨기 계통 내에서뿐만 아니라 신체의 다른 시스템과 함께 작동하는 이유와 방식을 이해하면 결과를 바꿀 수 있습니다.

신경인성 방광 및 치료는 뇌와 척수 연구에 포함됩니다. 새로운 치료법에는 방광 관리에 문제가 있는 사람을 위해 기능적 능력을 만들어줄 줄기세포 및 조직 공학 이니셔티브가 있습니다. 요역동학 검사의 복잡성을 더 잘 이해하기 위해 다른 시술을 시험하고 있습니다. 기능 회복을 위한 해부학적 변형과 전기 자극을 포함한 외과적 개선도 연구되고 있습니다.

도뇨관 개발은 지난 20년 동안 폭발적으로 증가했습니다. 사용자 친화적이 되었을 뿐만 아니라 신체 친화적으로 되었습니다. 글로벌 자금 지원을 위한 결제 수단 시스템 증가를 위해서는 사용 효능을 뒷받침하는 연구가 아주 중요합니다.

가장 중요한 연구 분야 중 하나는 방광 관리의 세부 사항을 이해할 수 있도록 개인을 교육하는 것입니다. 성공적인 비뇨기 건강에 중요한 것이 무엇인지 아는 것은 삶의 질을 높일 수 있습니다.

방광 관리 사실과 수치

모든 인구의 경우:

요실금은 여성의 약 3~17%에서 보고됩니다. 심각한 요실금은 주로 호르몬 변화로 인해 70~80세에 눈에 띄게 증가합니다.

요실금은 남성의 약 3~11%에서 보고됩니다. 요실금이 있는 남성 중 절박성 요실금은 40~80%로 나타납니다. 복압성 요실금은 전체 사례의 10% 미만이며 전립선 수술, 외상 또는 신경학적 손상에서 기인합니다.

척수 손상이 있는 사람의 경우:

신경인성 방광을 가진 사람의 수는 질병에 따라 다릅니다. 질병은 보고되지만, 신경인성 방광과 같은 질병으로 인한 결과는 보고되지 않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연구에 따라 다양한 추정치가 보고되고 있습니다.

외상이나 질병으로 인한 척수 손상 70~84%

다발성 경화증(Multiple Sclerosis) 40~90%

파킨슨병(Parkinson’s Disease) 37~72%

뇌졸중(Stroke) 15%

척수 손상을 입은 사람들은 연간 평균 2.5건의 요로 감염을 보고합니다.

자료

문의 사항은 평일(월요일~금요일) 오전 7시~자정(동부 표준시)에 수신자 부담 전화 800-539-7309로 정보 전문가에게 연락하세요.

뉴스, 연구 지원 및 자원을 제공하는 협회, 지원 그룹, 진료소 및 전문 병원의 전국 네트워크를 포함해 마비 관련 조직에 연락할 것을 권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