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상 토론회: 장애를 입은 후 직장에 복귀하기
성공적 이행: 장애 후 직장으로 복귀하기
일은 소득, 건강 보험 및 기타 혜택을 제공할 뿐 아니라 우리의 전반적인 웰빙에도 유익합니다. 대의명분에 기여하고, 다른 사람과 교류하고, 자존감을 높이며, 삶의 만족도를 높일 기회는 직장으로 복귀하려는 공통적인 이유입니다. 척수 손상을 입은 후 직장으로 복귀하고 싶을 때, 스스로에게 질문해 보세요. 어떻게 시작해야 할까? 직업을 구하거나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되는 지원, 교육 및 직업 재활은 어디서 알아볼 수 있을까? 난관을 극복하고 성공적으로 취업할 수 있도록 돕는 다양한 선택지와 지원 서비스에 대해서 알아보세요.
재취업 방법과 장소에 관해 초반에 생기는 질문으로 지침과 방향성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자신감을 얻으세요.
- 구직에 활용할 수 있는 다섯 개 유형의 고용 서비스를 확인한다.
- 고용 네트워크나 필요에 적합한 서비스를 선택한다.
- 면접 과정을 위한 전략을 세운다.
- 구직을 위한 도구 목록을 만든다.
- 직장으로 복귀하기 위한 목표를 세운다.
마이클 샌더스(Michael Sanders)는 미국 국립 재택근무 연구소(NTI)의 마케팅 및 커뮤니케이션 담당 이사입니다. 미국 국립 재택근무 연구소는 장애가 있는 미국인과 참전 용사들이 재택근무 할 수 있는 콜센터, 고객 서비스 및 IT 업무 지원 센터에 취업을 알선해 주는 비영리 단체입니다. 미국 국립 재택근무 연구소는 아마존, 애플, IBM, 미국 국세청 등 포춘(Fortune)500 기업 및 정부 기관과 파트너 관계를 구축해 전국에 있는 장애인들에게 일자리를 제공합니다. 미국 국립 재택근무 연구소에 합류하기 이전에 샌더스는 캐논(Canon) 북미지역 교육 담당자였습니다. 또한 브라운 브라더스 해리먼(Brown Brothers Harriman), 스테이트스트리트 은행(State Street Bank), 컴퓨터쉐어(Computershare) 등 유명 기업의 e러닝 프로그램을 개발했습니다. 산업 및 조직 심리학 석사 학위와 함께 옹호 및 마케팅 전략 분야에서 20년 이상의 경력을 쌓은 샌더스는 미국 국립 재택근무 연구소를 장애가 있는 미국인을 위한 직업 알선 분야의 선두 주자로 만드는 데 기여했습니다.
2019년 2월 26일 녹화